문성용 교수, 유전자 기반 치료제 단량체의 고순도 및 고속 회수를 위한 solvent-gradient SMB 기반의 신 공정 …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조회 작성일 23-05-22 00:00본문
문성용 교수, 유전자 기반 치료제 단량체의 고순도 및 고속 회수를 위한
solvent-gradient SMB 기반의 신 공정 개발
solvent-gradient SMB 기반의 신 공정 개발
문성용 교수 연구실(화학공학과)은 현재 전 세계 의약품 시장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유전자 기반 치료제(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단량체의 고순도 및 고속 회수를 위한 “solvent-gradient SMB 기반의 신 공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실에서 개발된 “신 공정”과 현재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생산능력 세계 1위인 국내 글로벌 제약 기업에서 운용 중에 있는 “기존 산업체 공정” 간의 분리 회수 성능을 비교해 본 결과, 본 연구실에서 개발된 “신 공정”의 생산속도가 “기존 산업체 공정”보다 33배 높았으며 solvent 사용량은 89% 절감되었다. 아울러 순도(purity) 및 수율(yield) 또한 본 연구실에서 개발된 “신 공정”이 “기존 산업체 공정”에 비해 대폭 향상된 수준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본 연구실과 국내 제약 기업에서 1차 검증되었고, 이어서 해당 의약품 생산능력 세계 1위인 기업의 pilot-scale process 하에서 2차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실의 연구 결과는 유전자 기반 치료제 생산비용의 대폭 절감과 생산속도의 획기적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 국내 글로벌 제약 기업의 경제성 향상과 해외 시장의 확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이 연구 성과는 공정 분야의 저명 학술지인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IF=16.744) 2023년 9월호에 출판될 예정이다. 본 연구를 직접 수행한 조철연 대학원생(한양대 화학공학과 박사과정 재학 중)이 제 1저자로 참여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 및 산업화 가능성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국내 글로벌 제약 기업의 책임연구원과 임원진이 제 2저자와 3저자로 각각 참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문성용 교수 연구실에서는 코로나 백신 및 유전자 기반의 질병 치료제 제조에 활용되고 있는 m-RNA 원료물질(예: capping)의 고순도 및 고속 분리정제 공정 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 이전글문성용 교수, 홍조류 내 간질환 치료제 성분의 고순도 대량 회수를 위한 연속분리공정의 개발 및 기술이전 실시 23.05.22
- 다음글물리적 손상과 촉각이 스스로 복원되는 전자피부 개발 22.12.2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