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공학도는 본인의 적성에 따라 정부출연연구소, 대학, 기업체, 창업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본인의 진로를 설정 할 수 있으며 학사, 석사, 박사학위 과정에 따라 연구원, 교수, 기업체 임직원 등으로 진출하여 국가과학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한양대학교 화학공학에서 다루는 경제성 분석 능력, 설계능력, 리더쉽 역량을 바탕으로
국내 최다수준의 기업 CEO로도 진출하여 우리사회의 가장 선두에 서서 눈부신 활약을 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시대의 흐름에 부응하는 다양한 첨단 소재-소자-시스템을 아우르는 교수진과 학과역량 (2025 QS 세계대학평가 화학공학분야 68위 선정)을 바탕으로 학생들은 시대를 선도하는 화학공학도로써 진로를 개척 해 나가고 있습니다.
고효율 에너지소재
고민재 | 김동원 | 김경학 | 임희대
고용량, 고안정성 이차전지 소재
신재생 에너지 변환 고효율 촉매 소재
시스템의 효율 및 경제성 향상 소재
에너지 하베스팅형 소자 기술
계산학습 기반 에너지 신소재 설계
신기능 스마트 에너지 소재
에너지 시스템의 데이터 기반형 지능정보 설계 및 최적 운영 기술
에너지저감 스마트소재
김도환 | 조은철 | 김존만 | 염봉준
신경망 기반 저전력 반도체 소재
웨어러블 신축성 전자소재
마이크로디스플레이 소재
오감 자극 기반 E-skin 소재
3차원 디스플레이 광학 소재
광에너지 기반 스마트 센서 소재
스마트윈도우 첨단소재
지속 가능 화학·환경 소재
김진국 | 상병인 | 문성용 | 박기호 | 서영웅 | 장윤정 | 서정길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연료전지 시스템 고도화
자세대 수소생산, 저장소재 공정 기술
탄소포집, 저장, 활용 기술
스마트 플랜트 전환 기술
저에너지 분리 소재 공정 기술
바이오 기반 원료전환 기술
고효율 에너지소재
고민재 | 김동원 | 김경학 | 임희대
고용량, 고안정성 이차전지 소재
신재생 에너지 변환 고효율 촉매 소재
시스템의 효율 및 경제성 향상 소재
에너지 하베스팅형 소자 기술
계산학습 기반 에너지 신소재 설계
신기능 스마트 에너지 소재
에너지 시스템의 데이터 기반형 지능정보 설계 및 최적 운영 기술
에너지저감 스마트소재
김도환 | 조은철 | 김존만 | 염봉준
신경망 기반 저전력 반도체 소재
웨어러블 신축성 전자소재
마이크로디스플레이 소재
오감 자극 기반 E-skin 소재
3차원 디스플레이 광학 소재
광에너지 기반 스마트 센서 소재
스마트윈도우 첨단소재
지속 가능 화학·환경 소재
김진국 | 상병인 | 문성용 | 박기호 | 서영웅 | 장윤정 | 서정길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연료전지 시스템 고도화
자세대 수소생산, 저장소재 공정 기술
탄소포집, 저장, 활용 기술
스마트 플랜트 전환 기술
저에너지 분리 소재 공정 기술
바이오 기반 원료전환 기술
Major in Chemical Engine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