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Office.신소재공학관 302호
- Tel.02-2220-0528
- Email.mjko@hanyang.ac.kr
- Website.차세대 에너지 재료 연구실
Energy Conversion Materials and Devices
Next Generation Photovoltaics and Batteries
Smart Nanomaterials
Flexible Electronic Devices
공업물리화학
고분자화학
고분자물성
B.S. (1995): Department of Fiber & Polymer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M.S. (1997): Department of Fiber & Polymer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Supervisor: Prof. Won Ho Jo)
Ph.D. (2001): School of Materials Science
2017.2 – present Professor, Hanyang University
2008.2 - 2017.1 Principal Research Scientist,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IST)
2015.3 - 2017.1 KU-KIST Professor, KU-KIST Graduate School of Converging Science and Techno
2005 – 2008 Senior Engineer,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CD Business
2001 – 2004 Postdoctoral Associate,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 (Advisor: Prof. Gregory C. Rutledge)
J. Cheng, W. Kim, I. Choi, S. Yu, B. Koo*, M.J. Ko* ”Halide-Diffusion-Assisted Perovskite Lamination Process for Semitransparent Perovskite Solar Cells”, https://doi.org/10.1002/smll.202409821
W. Kim, J. Kim, D. Kim, B. Koo, S. Yu, Y. Li, Y. Kim*, and M.J.Ko*, Completely annealing-free flexible Perovskite quantum dot solar cells employing UV-sintered Ga-doped SnO2 electron transport layers, npj Flexible Electronics 8 (1), 20 (2024)
J. Kim, D. Kim, W. Kim, S. Woo, S.-W. Baek*, M.J. Ko*, and Y. Kim*, “Efficient semi-transparent perovskite quantum dot photovoltaics enabled by asymmetric dielectric/metal/dielectric transparent electrodes”,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469, 143824 (2023)
J. Kim, S. Han, G. Lee, J. Choi, M.J. Ko*, and Y. Kim*, “Single-step-fabricated perovskite quantum dot photovoltaic absorbers enabled by surface ligand manipulation”,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448, 137672 (2022).
H. Li, R. Chen, M. Ali, H. Lee*, and M.J. Ko*, “In Situ Grown MWCNTs/MXenes Nanocomposites on Carbon Cloth for High-Performance Flexible Supercapacitors”,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30, 2002739 (2020). (Selected as an Outside Back Cover Paper)
J. Kim, S. Cho, F. Dinic, J. Choi, C. Choi, S.M. Jeong, J.-S. Lee, O. Voznyy, M.J. Ko*, and Y. Kim*, “Hydrophobic stabilizer-anchored fully inorganic perovskite quantum dots enhance moisture resistance and photovoltaic performance”, Nano Energy 75, 104985 (2020).
158. M. Jo, S. Bae, I. Oh, J.-H. Jeong, B. Kang, S.J. Hwang, S.S. Lee, H.J. Son, B.-M. Moo, M.J. Ko* and P. Lee*, “3D Printer-Based Encapsulated Origami Electronics for Extreme System Stretchability and High Areal Coverage”, ACS Nano 13, 12500-12510 (2019).
H.S. Jung*, G.S. Han, N.-G. Park*, and M.J. Ko*, “Flexible Perovskite Solar Cells”, Joule 3(8), 1850-1880 (2019).
G.S. Han, J. Kim, S. Bae, S. Han, Y.J. Kim, O.Y. Gong, P. Lee, M.J. Ko*, H.S. Jung*, “Spin-Coating Process for 10 cm x 10 cm Perovskite Solar Modules Enabled by Self-Assembly of SnO2 Nanocolloids”, ACS Energy Lett, 4(8), 1845-1851 (2019).
J.S. Kang, J.-Y. Kim, J. Yoon, J. Kim, J. Yang, D.Y. Chung, M.-C. Kim, H. Jeong, Y.J. Son, B.G. Kim, J. Jeong, T. Hyeon, M. Choi*, M.J. Ko* and Y.-E. Sung* Room-temperature vapor deposition of cobalt nitride nanofilms for mesoscopic and perovskite solar cells. Adv. Energy Mater. 8, 17031114 (2018).
차세대에너지재료연구실(AEML)은 2017년 2월 고민재 교수님의 한양대학교 부임과 함께 설립되었으며, 열정적이고 창의적인 연구 환경 속에서 유기고분자, 무기전자소재 및 금속재료에 대한 탄탄한 지식을 바탕으로, 나노기술 기반의 차세대 에너지소재 및 소자 (차세대 태양전지 및 이차전지), 스마트 나노재료, 유연전자소자 분야를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다.
차세대 에너지변환 소재 및 소자 분야에서는 페로브스카이트, 감응형, 양자점, 탠덤형 차세대 태양전지의 소재, 소자 및 공정 기술을 연구하며, 고효율과 내구성을 갖춘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차세대 이차전지분야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 순환을 위한 배터리 리사이클링 및 업사이클링 기술과 고성능 이차전지 핵심소재를 개발하고 있다.
스마트 나노재료 분야에서는 전자소자 및 자동차 코팅제로 응용 가능한 자기치유 소재를 개발하고 있으며 유연전자소자 분야에서에서는 웨어러블 및 플렉서블 전자소자에 응용이 가능한 저온 신터링 기술 및 고전도성 유연소재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위에 기술된 분야에서의 축적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연구실은 미래형 융합 에너지 소자로 연구를 확장하며 첨단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연구실은 항온항습 시설이 구비된 소재합성, 소자제작, 특성분석의 전문화 된 실험실로 나뉘어져 운용되고 있으며, 학위 과정 중에는 활발한 국내외 학회발표 및 해외 유명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차세대에너지재료연구실은 국외 유명 학술지 논문 게재, 학회 발표, 특허 등록 등 세계적 수준의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다. 졸업생들은 국내외 유명대학 교수, 대기업, 정부출연연구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